- 시대
- 고려(高麗, 918-1392), 14세기 전반
- 재질 및 형태
- 비단에 색(絹本彩色); 족자
- 크기
- 화면: 94.6 x 55.6cm
전체: 185.4 x 75.4cm
- 소장 경위
- 1913년 로저스 기금(Rogers Fund)으로 구입
- 소장처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소장품 번호
- 13.5
- 소장 이력
1913년까지
뉴욕의 가렛 챗필드 피어(Garrett Chatfield Pier, 1875-1943)가 일본에서 구입 [1]1913년부터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주
[1]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초창기의 장식미술 큐레이터였던 가렛 챗필드 피어는 아시아를 여행하는 중에 <아미타불과 지장보살도(阿彌陀佛・地藏菩薩圖)>를 구입하였다. 그는 동아시아의 여행에서 영감을 받아 일본의 불교 유적지에 대해 다룬 Temple Treasures of Japan(일본 사찰의 보물)이라는 제목의 저서와 베이징 외곽에 위치한 영락제(永樂帝, 1360-1424)의 무덤에 관한 출판물을 모두 1914년에 출간하였다. 영국 출생인 피어는 동아시아 미술에 관한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뿐만 아니라 자신의 고대 이집트 컬렉션을 형성했던 이집트 학자로서 보다 널리 기억되고 있다.
- 보관함
- 천 재질의 외함에 “13.5”라 쓰인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으며 목조 내함에는 별도의 명문이 없음.
- 논평
[연대 미상의 노트] 구입 당시 중국 당(唐)의 그림으로 여김.
[하마다(浜田), 문화재연구소(文化財研究所), 1967년] 한국 그림이라 추정됨.
[미야지마(宮島), 문화청(文化庁), 1980년] 한국의 그림.
[김홍남, 1987년] 고려(高麗), 13-14세기.
- 출판 이력
鄭于澤, 「高麗阿弥陀八大菩薩図の変容」, 『大和文華』 80, 大和文華館, 1988, p. 2, 図 1.
Metropolitan Museum of Art. Arts of Korea. New York: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98, pp. 168-69, p. 432, pl. 76.
Kim, Kumja Paik. Goryeo Dynasty: Korea’s Age of Enlightenment, 918-1392. San Francisco: Asian Art Museum, 2003, pp. 72-73, pl. 13.
국립중앙박물관, 『미국 한국 미술을 만나다』, 국립중앙박물관, 2012, pp. 22-23, 도 5.
정우택, 「미국소재 한국불화 조사 연구」, 『東岳美術史學』13, 2012, pp. 47-48, 도 17.
Chung, Woothak. “Iconography, Technique, and Context in Koryo Buddhist Painting.” In New Perspectives on Early Korean Art: From Silla to Koryo. Cambridge, by Youn-mi Kim. MA: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2013, pp. 22-25, fig. 1.7.
자현, 『불화의 비밀: 삼국시대 벽화에서 조선시대 괘불까지 1,600여 년을 이어 온 찬란한 믿음의 기록』, 조계종출판사, 2017, p. 130.
- Restrictions & Rights
- Copyright with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