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t tag for AAM-B72D38_001
  • Alt tag for AAM-B72D38_002
  • Alt tag for AAM-B72D38_003
  • Alt tag for AAM-B72D38_004
  • Alt tag for AAM-B72D38_005
  • Alt tag for AAM-B72D38_006
  • Alt tag for AAM-B72D38_007
  • Alt tag for AAM-B72D38_008
  • Alt tag for AAM-B72D38_009
  • Alt tag for AAM-B72D38_010
  • Alt tag for AAM-B72D38_011
  • Alt tag for AAM-B72D38_012
  • Alt tag for AAM-B72D38_013
  • Alt tag for AAM-B72D38_014
  • Alt tag for AAM-B72D38_015
  • Alt tag for AAM-B72D38_016
소장 이력

1972년까지
에이버리 브런디지(Avery Brundage) 가 마유야마 류센도(繭山龍泉堂) 로부터 구입하여 소장

1972년부터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소장

보관함
비단 끈이 있는 외함; 비단천
논평
  1. [도쿄 문화재연구소(文化財硏究所) 의 나카노 데루오(中野照男) 와 오류 가즈노리(尾立和則) , 1994년] 14세기 후반의 작품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그림에 보채된 부분이 있으며 재표구 당시 그림의 상당 부분이 잘려진 것으로 보인다.

  2. [박영숙, 연도미상] 동일한 주제의 그림이 총 열 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 가운데 두 점은 미국에 소장(프리어와 브런디지 컬렉션) 되어 있으며 일곱 점은 일본에, 그리고 소형의 목판에 그려진 한 점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각각의 작품마다 화풍이 서로 다르다. 이 그림들은 모두 밝은 주색과 녹청색과 같이 온화한 계열의 안료로 채색되었고 금니를 풍부하게 사용하고 문양을 다채롭게 표현하였다. 한편 마츠오데라본(松尾寺本, 1320) 과 도쿄대학본(東京大學本) 은 서로 상당히 유사하며 정형화된 그림이다. 이와 반대로 반나지본(鑁阿寺本) , 도쿠가와컬렉션본(德川コレクション本) , 그리고 고후쿠지본(広福寺本) 은 섬세한 선과 안료로 그려졌다. 비교적 규모가 큰 네즈미술관본(根津美術館本) 은 소박한 지방적인 색채를 띤다. 한편 국립중앙박물관본(1307) 은 위지을승(尉遲乙僧, 7-8세기 초) 의 양식을 따르고 있다. 미국에 소장된 두 점의 작품 가운데 프리어본은 섬세하게 그려졌음에도 정형화된 모습을 보이는 반면 브런디지본은 보다 생동감있게 표현되어 좀 더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년작이 매우 드문 관계로 제작 시기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은 불가하다.

    출판 이력

    “Art of Asia Recently Acquired by American Museums, 1972.” Archives of Asian Art, vol. 27, 1973-74, p. 106, fig. 42.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A Decade of Collecting. San Francisco: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1976, pl. VII.

    繭山順吉, 『龍泉集芳 : 創業七十周年記念』, 繭山龍泉堂, 1976, vol. 2, p. 129, cat. no. 257.

    D’Argence, Rene. Asian Art: Museum and University Collections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Montclair NJ: Allanheld & Schram, 1978, fig. 89.

    Asia Foundation, Program Bulletin-special Issue. “Rarities of the Asian Art Museum.” 1978, p. 15, pl. XVI.

    유마리, 「高麗 阿彌陀佛畵의 硏究 – 坐像을 中心으로-」, 『佛敎美術』6, 1981, p. 42, 도 10.

    Wilson, William. The Los Angeles Times Book of California Museums. New York: Harry N. Abrams, Inc. Publishers, 1984, p. 51.

    홍윤식, 『고려 불화의 연구』, 동화출판공사, 1984, 도 6, 34.

    鄭于澤, 「高麗時代の阿弥陀八大菩薩図:広福護国禅寺所蔵阿弥陀八大菩薩図を中心として」, 『大和文華』75, 1986, p. 24, 図 11.

    Pal, Pratapaditya. American Collectors of Asian Art. Bombay: Marg Publications, 1986, p. 40, pl. 9.

    Bloom, Alfred. “The Western Pure Land.” Tricycle: The Buddhist Review, Summer 1995, pp. 58-63.

    菊竹淳一 · 鄭于澤, 『高麗時代의 佛畵』, 시공사, 1997, vol. 1, pp. 62-63, 도 23; vol. 2, p. 68.

    菊竹淳一 · 鄭于澤, 『高麗時代の仏画』, 時空社, 2000, pp. 62-63, 422, 図 23.

    Little, Stephen. “A Korean Gilt-Bronze Sculpture of Kshitigarbha Bodhisattva.” Orientations 34, no. 7, 2003, p. 55, fig. 5.

    Kim, Kumja Paik. Goryeo Dynasty: Korea’s Age of Enlightenment, 918-1392. San Francisco: Asian Art Museum–Chong-Moon Lee Center for Asian Art and Culture in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ra National Museum, 2003, cat. no. 7.

    구진경, 「고려 아미타팔대보살도 도상의 성립과 특징」, 『동아시아 문화와 예술』S, 2009, p. 92.

    유홍준, 『유홍준의 한국 미술사 강의』2, 눌와, 2010, p. 493, 도 5.

    정우택, 「미국소재 한국불화 조사 연구」, 『東岳美術史學』13, 2012, p. 38, 도 5.

    유마리, 『아미타 불화의 연구』, 문화재청, 2013, p. 47, 그림 10.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Collection Highlights. San Francisco: Asian Art Museum Chong-Moon Lee Center for Asian Art and Culture, 2018, pp. 216-17.

    Restrictions & Rights
    Copyright with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