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
- 고려(高麗, 918-1392), 14세기 중반
- 재질 및 형태
- 비단에 색(絹本彩色); 족자
- 크기
- 화면: 130.2 x 81.9cm
전체: 244 x 102cm
- 소장 경위
- 헤럴드 굴드 헨더슨(Harold Gould Henderson) 교수 기증
- 소장처
- 브루클린 박물관
- 소장품 번호
- 61.204.30
- 소장 이력
1938년까지
일본 교토의 G. 기타나카(G. 北中)가 소장하였을 것으로 추정1938년부터 1961년까지
헤럴드 굴드 헨더슨(Harold Gould Henderson, 1889-1974) 교수가 이 그림을 일본에서 구입하여 브루클린 박물관으로 송부; 1961년12월 13일자로 헨더슨 교수가 이 그림을 박물관에 기증1961년부터
헨더슨 교수의 기증으로 브루클린 박물관 소장
- 이전 소장자
기증자인 헤럴드 헨더슨(Harold Henderson, 1889-1974)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의 큐레이터(1927-1929),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의 교수(1934-1956, 제2차 세계대전 참전 도중 휴직) 그리고 재팬 소사이어티(Japan Society)의 회장(1948-1952)을 역임하였다.
- 보관함
- 목조 상자 안에 보관된 상태로 입수되었으며 덮개에는 “阿彌陀三尊像 張思恭筆(아미타삼존상 장사공필)”이라는 명문이 쓰여 있음. 이밖에 “第四號(제4호)”라는 글씨 위로 일본 옥션 하우스의 표식으로 보이는 인장이 찍힌 스티커가 상자에 부착되어 있음. 일본 교토 소재 미술상인 “G. Kitanaka(G. 北中)”의 이름이 기재된 또 다른 스티커에는 “Chinese, Sung, attributed to Cho Shikyo(중국, 송, 전 장사공)”이라 쓰여 있음. 상자에는 소장과 관련된 추가 정보가 다음과 같이 새겨져 있음: “38.1 A+B Henderson(38.1 A+B 헨더슨).”
- 논평
[브루클린 박물관 기증 목록, 1961년 6월 28일] 15. Buddha and bodhisattvas. China, Late Sung [Song] 宋 – Yuan 元, c. 1300.
[야마누치 쵸조(山内長三), 도쿄의 남화(南画) 전문가, 1974년 2월 10일] 이 그림은 사실 한국의 화사가 그린 작품이며 제작 시기는 고려 후기(高麗後期)이다.
[박영숙 교수, 하이델베르크 대학(Heidelberg University)의 한국 불화 전문가, 1978년 6월 24일] 이 그림의 주제를 “아미타내영(阿彌陀來迎)”으로 다시 비정하고 세부 양식에 근거하여 한국의 고려시대(高麗時代) 그림으로 추정하였다.
[날짜 미상의 카탈로그 카드] 이 그림을 고려시대(高麗時, 14세기)로 볼 수 있는 또 다른 근거로 1978년 나라국립박물관(奈良國立博物館)에 전시되었던 <아미타여래도(阿彌陀如來圖)> 두 점을 들 수 있다. 관련 도판은 다음의 문헌을 참조. 奈良国立博物館, 『日本仏教美術の源流』, 奈良国立博物館, 1978, 図 34(시즈오카현 아타미박물관 컬렉션); 図 36(도쿄 개인 소장).
[『미국 브루클린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보고서(2006)에 따라 K. 셔츠(K. Shirts)가 작성, 2008년 2월 13일] 고려 왕조의 영문 명칭을 “Koryo”에서 “Goryeo”로 변경.
- 출판 이력
Saldern, Axel von. The Brooklyn Museum Handbook. Brooklyn, NY: Brooklyn Museum, 1967, pp. 150-51.
Moes, Robert J. Korean Art from the Brooklyn Museum Collection. New York: Universe Books, 1987, pp. 48-49, pl. 11.
박영숙, 「Amitabha Triad: A Koryo Painting in the Brooklyn museum」, 『三佛 金元龍敎授 停年退任紀念論叢』2, 일지사, 1987, pp. 513-36.
鄭于澤, 「高麗時代の阿弥陀仏三尊図」, 『泉屋博古館紀要』5, 1988, p. 57, 図 4.
한국국제교류재단, 『미국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한국국제문화협회, 1989, p. 82, 도 6.
Kim, Hongnam. The Story of a Painting: A Korean Buddhist Treasure from the Mary and Jackson Burke Foundation. New York, NY: Asia Society Gallery, 1991, no. 8.
정우택, 「高麗佛畫에 있어서 圖像의 傳承」, 『美術史學硏究』192, 1991, pp. 13-15, pl. 27.
Moon, Myung-dae. “Buddhist Painting from the Koryo Period.” Koreana 6, no. 3, 1992, pp. 14-19, pl. 15.
Turner, Jane S. The Dictionary of Art, Vol. 18. New York: Grove, 1996, p. 305, fig. 35.
菊竹淳一 · 鄭于澤, 『高麗時代의 佛畵』, 시공사, 1997, vol. 1, p. 85, 도 36; vol. 2, p. 73.
우현수, 「부르클린미술관에 숨쉬는 한국미의 숨결」, 『월간미술』2, no. 1, 1999, p. 120.
菊竹淳一 · 鄭于澤, 『高麗時代の仏画』, 時空社, 2000, p. 85, 427, 図 36.
Poster, Amy. Journey through Asia: Masterpieces of Asian Art in the Brooklyn Museum of Art. Brooklyn, NY and London: Brooklyn Museum of Art and Phillip Wilson Publishers, 2003, pp. 138-9, pl. 50.
국립문화재연구소, 『미국 브루클린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p. 119, 241, pl. 180.
정우택, 「미국소재 한국불화 조사 연구」,『東岳美術史學』13, 2012, p. 37, 도 4.
- Restrictions & Rights
- Copyright with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