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대
- 고려(高麗, 918-1392), 14세기
- 재질 및 형태
- 비단에 색(絹本彩色); 족자를 패널로 표구, 유리 액자
- 크기
- 화면: 165.5 x 85.5cm
전체: 240.0 x 107.0 x 5.1cm
- 소장 경위
- 윌리엄 스터지스 비글로우 컬렉션(William Sturgis Bigelow Collection)
- 소장처
- 보스턴 미술관
- 소장품 번호
- 11.6142
- 소장 이력
늦어도 1889년까지
도쿄 고류지(幸龍寺) 소장 [1]1889년부터 1911년까지
윌리엄 스터지스 비글로우(William Sturgis Bigelow, 1850-1926) 소장; 1911년 8월 3일 보스턴 미술관에 기증 [2]1911년부터
보스턴 미술관 소장주
[1] 아서 맥클린(Arthur McLean)이 찰스 J. 모스(Charles J. Morse)에게 보낸1907년 11월 21일자의 노트: “우리 측의 전문가가 이 그림을 보수하고 수리하는 과정에서 족자의 축 안에 들어있던 흥미로운 종이 한 장을 발견했습니다. 이 메모에는 약 250 여 년 전(1642년 추정) 도쿄의 고류지(幸龍寺)에서 이 그림을 수리했다는 내용이 쓰여 있습니다. 이 밖에도 이 종이에는 여러 시주자들의 이름과 시주 금액이 적혀있으며 사찰 주지의 수결(手決)도 있습니다. 저는 매우 격양된 마음으로 이 종이를 펼쳐보았고 일본인에게 번역을 의뢰하였습니다. 족자의 축에 끼워졌던 그 당시 만큼 상태가 좋고 깨끗하며 빳빳한 250년 밖에 안된 종이를 취급하는 것 만으로도 매우 흥미진진한 경험이었습니다.”[2] 비글로우는 유럽과 미국에서도 수집을 하였지만 아시아미술 컬렉션의 많은 부분은 그가 일본에서 지냈던 시기인 1882년부터 1889년 사이에 형성되었다. 그는 훗날 자신의 소장품을 기증하기에 앞서 1890년에 많은 유물을 보스턴 미술관에 기탁하였다.
- 논평
[연대 미상의 큐레이터 논평] 이 그림은 1880년대에 윌리엄 스터지스 비글로우(William Sturgis Bigelow)가 구입한 것이다. 일본의 원소유자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1961년 이 그림을 출판한 고지로 도미타(富田幸次郎)씨마저도 이를 알지 못한다.
[연대 미상의 보스턴 미술관 기록] 중국, 원(元): 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이 여러 보살과 신중(神衆)에게 원각(圓覺)의 이치에 대해 설법하는 그림으로……몽골의 영향이 보인다.
[오카쿠라 [덴신](岡倉天心)] 여래가 설법하는 그림……원대(元代)의 우수한 불화로 몽골의 영향이 보임.
[찰스 J. 모스(Charles J. Morse, [1852-1911]] 미국 일리노이주 에반스턴, 1907년 11월 19일자의 편지) 이 그림을 “몽골의 그림”이라 칭함.
- 출판 이력
Siren, Osvald. Chinese Paintings in American Collections. Paris and Brussels: G. van Oest, 1928, vol. 4, pl. 160.
Siren, Osvald. A History of Early Chinese Painting. London: Medici Society, 1933, vol. 2, pl. 101, p. 124.
Museum of Fine Arts, Boston, and Kojiro Tomita. Portfolio of Chinese Paintings in the Museum(Han to Sung Periods). Cambridge, MA: Published for the Museum by the Harvard University Press, 1938, p. 1, pl. 2.
Tomita, Kojiro and Tseng, Hsien-chi. Portfolio of Chinese Paintings in the Museum. Boston: The Museum, 1961, vol. 2.
Museum of Fine Art. Selected Masterpieces of the Museum of Fine Art. 1992, p. 109.
菊竹淳一 · 鄭于澤, 『高麗時代의 佛畵』, 시공사, 1997, vol. 1, p. 18, 도 1; vol. 2, p. 60.
菊竹淳一 · 鄭于澤, 『高麗時代の仏画』, 時空社, 2000, p. 18, 412, 図 1.
국립문화재연구소, 『미국 보스턴미술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pp. 76-77, p. 262, 도 105.
リピット, ユキオ. 「圓覺經變相圖」, 『國華』 1313, 2005, pp. 38-39, pl. 1.
강소연, 『잃어버린 문화유산을 찾아서』, 부엔리브로, 2007, pp. 208-225, figs. 1-2.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불화대전: 700년 만의 해후』, 국립중앙박물관, 2010, p. 32, 286, 도 7.
정우택, 「미국소재 한국불화 조사 연구」, 『東岳美術史學』13, 2012, pp. 34-35, 도 1.
Portal, Jane, Hee Jung Lee, and Suhyung Kim. Arts of Korea. Boston: MFA Publications, Museum of Fine Arts, Boston, 2012, pp. 48-49.
Chang, Qing. “Form and References of the Goryeo Painting of the Rocana Assembly in the Museum of Fine Arts, Boston.” Journal of Korean Art and Archaeology 7, 2013, p. 8, fig. 1.
삼성미술관 Leeum, 『細密可貴: 한국미술의 품격』, 삼성미술관 Leeum, 2015, p. 404, pl. 97.
자현, 『불화의 비밀: 삼국시대 벽화에서 조선시대 괘불까지 1,600여 년을 이어 온 찬란한 믿음의 기록』, 조계종출판사, 2017, pp. 123-24.
- Restrictions & Rights
- Copyright with museum